로고
ESG

무늬만 친환경..펀드에서도 퇴출된다.

채권형 ESG 펀드 시장이 꾸준한 자금 유입과 함께 큰 규모로 성장
이러한 성장은 '그린워싱'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아직 많은 숙제있어

전용현 기자 | 기사입력 2023/04/24 [14:31]

무늬만 친환경..펀드에서도 퇴출된다.

채권형 ESG 펀드 시장이 꾸준한 자금 유입과 함께 큰 규모로 성장
이러한 성장은 '그린워싱'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아직 많은 숙제있어

전용현 기자 | 입력 : 2023/04/24 [14:31]

[월간 기후변화= 전용현 기자] ESG 펀드에서 채권형 펀드가 대세인 이유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이 증가하면서, 주식형보다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채권형이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늬만 친환경" 그린워싱이 일어나는 사례가 많다는데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ESG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ESG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매니저들도 그린워싱을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나 감독기관에서는 ESG 펀드 운용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준수하지 않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엄정한 처벌을 가할 필요가 있다.

 

 

▲ 현재 ESG채권에 상당한 바람이 들어가 있어 사회적 가치보다는 무늬만 친환경인 펀드가 많다    

 

채권형 ESG 펀드 시장이 꾸준한 자금 유입과 함께 큰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은 '그린워싱'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아직 많은 숙제가 남아있다. 또한 ESG 투자는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공익성을 추구하는 것이 본질이기 때문에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금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씁쓸한 면인데 이에 그린워싱까지 더해지고 있는 대목은 유의해야 한다

ESG 투자는 기업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의 측면에서 책임을 다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ESG 투자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기업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투자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