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NEWS
2024.10.16 [20:16]
기후위기 대응 빗물저장시설을 만들어야... 섬지역 필수규모 댐의 한계, 분산형 시스템으로 해결책 모색기후 변화로 인한 극심한 폭우와 가뭄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해지면서, 물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빗물 저장 시설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미 한국의 일부 섬 지역에서는 빗물 저장 시설을 활용해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사례가 존재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후 변화로 인한 물 자원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적인 대응책으로, 한국 전역에 걸쳐 확산될 필요가 있다.
특히 섬 지역은 지리적 특성상 대규모 댐을 건설하기 어렵고, 외부의 물 공급에 의존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빗물 저장 시설이 생명줄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울릉도와 같은 섬에서는 빗물 저장을 통해 주민들에게 안정적인 물 공급을 보장하고 있으며, 이는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에 대한 유연한 대처 방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빗물 저장 시설은 폭우 시 물을 모아 가뭄이나 물 부족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기능한다.
기후 전문가 제러미 리프킨은 특히 한국의 경우, 대규모 댐 대신 여러 개의 빗물 저장 시설을 분산하여 구축하는 것이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라고 강조한다. 대규모 댐은 일정한 장점이 있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예측 불가능한 폭우나 가뭄에 대응하기에는 그 유연성이 부족할 수 있다. 반면, 여러 개의 작은 빗물 저장 시설을 지역별로 분산하여 설치할 경우, 한 지역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지역으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형 시스템은 기후 변화로 인한 위기에 보다 안정적이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폭우가 특정 지역에 집중될 경우, 대규모 댐은 수용 용량을 초과할 위험이 있지만, 여러 개의 작은 빗물 저장 시설이 분산되어 있으면 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각 지역별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재난 발생 시에도 물 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해 댐이 피해를 입더라도, 분산된 빗물 저장 시설을 통해 다른 지역은 영향을 받지 않고 물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산형 빗물 저장 시스템은 기후 변화로 인해 물 공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 한국에서 특히 필요하다.
한국은 이미 일부 도심 지역에서도 빗물 저장 시설을 활용해 물 자원 관리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폭우로 인한 도심 홍수를 방지하고, 가뭄에 대비한 빗물 관리 시스템을 통해 물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러한 노력은 기후 변화로 인한 극심한 기상 변화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책으로, 물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리프킨의 제안에 따르면, 한국은 기후 변화로 인한 물 자원 문제에 대해 보다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 단순히 대규모 댐에 의존하는 방식은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폭우와 가뭄은 지역별로 불규칙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분산형 빗물 저장 시설을 구축해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는 한국의 물 자원 관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다.
결국, 한국은 기후 변화에 맞서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물 자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섬 지역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빗물 저장 시설의 사례는 한국 전역에 걸쳐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빗물 저장 시스템은 단순히 물 공급을 안정화하는 것을 넘어, 기후 변화로 인한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과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며, 기후 변화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국민들의 물 자원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월간 기후변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